방과후 생윤끝판왕

2.현대 윤리 문제에 대한 접근(동양)

1) 유교

-유교 윤리는 ( )에서 나타나는 삶의 문제를 중요하게 여김

=> 죽음 뒤의 세계보다는 현실에서의 ( ) 강조

-공자는 ( )(仁)을 인간의 타고난 내면적 도덕성으로 봄

=> 인은 ( )과 ( )로 실현될 수 있음

공자의 인과 예

·사랑의 정신이자 사회적 존재로 완성된 인격체의 인간다움

·존비친소, 시비선악을 분별하여 실천하는 사랑( )

·인의 정신을 담고 있는 외면적인 사회 규범

·( ): 사욕을 극복하고 예를 회복해야 인이 이루어짐

-맹자는 ( )(四端)이라는 선한 마음이 누구에게나 주어져 있다고 봄

조금의 속임이나 허식 없이 자신의 온 정성을 다함

자신을 미루어 다른 사람의 마음을 헤아림

인(仁)의 단서

의(義)의 단서

예(禮)의 단서

지(智)의 단서

-인간은 하늘로부터 도덕적 본성을 부여받지만, 지나친 욕구로 잘못된 행동을 하게 됨

=> 마음을 깨끗이 하는 ( )과 자신을 반성하고 참되게 실천하는 ( )을 강조

2) 도가

자연에

따르는 삶

-사회 혼란 원인을 인간의 그릇된 가치관, ( ) 규범과 제도로 봄

=> 자연의 순리를 따르는 삶 강조

노자의

( )

인위를 강조하지 않고 스스로 그러한 자연스러움을 따르는 것! => 으뜸이 되는 선은 물과 같음( )

평등적 세계관

-자연스러운 의 관점에 보면 세상 만물은 평등한 가치를 지님

장자의 제물론

세상 만물을 차별하지 않고 한결같이 바라봄

어떠한 외물에도 얽매이지 않고 일체의 분별·차별을 없앰으로써 도달하게 되는 절대 자유의 경지

=> 제물에 이르기 위해서는 조용히 앉아서 잊어버리는 ( )과

마음을 비워서 깨끗이 하는 ( )가 필요함

3) 불교

연기적 세계관

-연기란 모든 존재와 현상에는 ( )과 ( )이 있음을 의미함

=> 모든 존재는 연기의 법칙으로 상호 관계 속에서 존재함

-고통에서 벗어나 진정한 행복을 이르기 위해 연기에 대해 깨달아야 함

=> 모든 존재는 상호 관계 속에서 존재하며, 자기가 소중하듯이 남도 소중하다는 ( )의 마음을 깨달으며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음

평등적 세계관

-살아 있는 모든 존재에게는 ( )이 있기에 모든 생명은 평등함

=> 불성 : 누구나 가지고 있는 부처의 마음이자 깨달음의 근거!

-누구나 깨달음을 얻으면 고통·번뇌에서 벗어난 ( )에 오를 수 있음

=> 대승 불교에서는 누구나 깨달음을 구하고 중생을 구제하는 ( )이 될 수 있다고 주장

주체적 인간관

-인간은 누구나 주체적으로 삼학(三學) 등과 같은 수행 방법을 통해 스스로 진리에 대한 깨달음을 추구할 수 있는 존재임

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