방과후 생윤끝판왕
2.현대 윤리 문제에 대한 접근(동양)
1) 유교 -유교 윤리는 ( )에서 나타나는 삶의 문제를 중요하게 여김 => 죽음 뒤의 세계보다는 현실에서의 ( ) 강조 -공자는 ( )(仁)을 인간의 타고난 내면적 도덕성으로 봄 => 인은 ( )과 ( )로 실현될 수 있음 ※공자의 인과 예 ·사랑의 정신이자 사회적 존재로 완성된 인격체의 인간다움
·존비친소, 시비선악을 분별하여 실천하는 사랑( )
·인의 정신을 담고 있는 외면적인 사회 규범
·( ): 사욕을 극복하고 예를 회복해야 인이 이루어짐
-맹자는 ( )(四端)이라는 선한 마음이 누구에게나 주어져 있다고 봄 |
| ||||||||||
인(仁)의 단서
의(義)의 단서
예(禮)의 단서
지(智)의 단서
| |||||||||||
-인간은 하늘로부터 도덕적 본성을 부여받지만, 지나친 욕구로 잘못된 행동을 하게 됨 => 마음을 깨끗이 하는 ( )과 자신을 반성하고 참되게 실천하는 ( )을 강조 | |||||||||||
2) 도가 자연에
따르는 삶
-사회 혼란 원인을 인간의 그릇된 가치관, ( ) 규범과 제도로 봄
=> 자연의 순리를 따르는 삶 강조
노자의
( )
인위를 강조하지 않고 스스로 그러한 자연스러움을 따르는 것! => 으뜸이 되는 선은 물과 같음( )
평등적 세계관
-자연스러운 “도”의 관점에 보면 세상 만물은 평등한 가치를 지님
※장자의 제물론
세상 만물을 차별하지 않고 한결같이 바라봄
어떠한 외물에도 얽매이지 않고 일체의 분별·차별을 없앰으로써 도달하게 되는 절대 자유의 경지
=> 제물에 이르기 위해서는 조용히 앉아서 잊어버리는 ( )과
마음을 비워서 깨끗이 하는 ( )가 필요함
| |||||||||||
3) 불교
|
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