방과후 생윤끝판왕

1.현대 생활과 실천 윤리

1) 윤리학의 분류

규범

윤리

-도덕적 행위에 대한 이론적 분석과 정당화를 다룸 => 도덕적 원리·법칙 정당화!

-근본 물음 :

이론 실천 => 둘 다 중시(실천지향)

ex)

-이론 윤리를 토대로 현실 문제에 ( )·( )·( )을 다룸.

=> 현실에 적용할 수 있는 실천적인 규범과 원칙을 연구.

이론 실천 => 이론 윤리를 토대로 실천!(상호보완적 관계)

ex)

=> 다른 윤리학에 비해 ( ) 성격이 강함.

-도덕적 언어·용어를 분석하여 윤리학의 ( )을 정립!

=> 옳고·그름, 선악 등의 도덕적 언어의 의미를 분석함

-( )을 통해 윤리학의 논리적 타당성 분석!

논리·추론과 같은 이론적 성향이 강함!

=>가치 판단이나 도덕적 실천에 관심이 없음!( )

-근본 물음 :나쁘다라는 의미는 무엇인가?

-도덕적 행위는 문화적 현상 및 경험의 총체!

=> ( )인 사실을 바탕으로 한 문화적 이해 중시!

-한 사회의 도덕적 문화·풍습들을 객관적으로 서술·기술

=> ( ), ( )성격 강함!

2. 윤리학 비교

A: 메타 , B: 기술

A: 이론 , B: 실천

1